안녕하세요.
우리는 절댓값이라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쓰는 일은 드물지만 실생활에서는 은근 많이 사용하곤 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나 : 야, 서울에서 부산까지는 몇 킬로냐?
너 : (T맵을 켜보면서 검색을 하며)한.. 320km쯤 될걸?
나 : 그럼 서울에서 헤이리 예술인마을까지는 얼마나 돼?
너 : (짜증을 내며 T맵을 다시 검색한다.)한 55km쯤 되는데 왜?
나 : 그럼 헤이리 예술인마을이나(파주) 가자.
여기서 나는 지금 서울에 있고, 부산까지 거리는약 320km이에요.
근데 파주 헤이리마을은 부산방향하고 정 반대인데 서울에서 55km라고 표현했어요. -55km라고 표현을 안 하고요.
파주에 사시는 분들은 불만이죠 왜 -55km라고 해?
반대로 파주 사는 분들은 서울을 기준으로 부산까지 -320km라고 할까요? 안 하죠.
여기서 우리는 이 숫자를 55, -55, 320, -320의 앞에 양수 음수를 다 떼고 그 숫자만을 표현하는 때가 있는데 그 표현을 '절댓값'이라고 학창 시절 배웠죠.
※ 절댓값은 어떤 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그 수와 0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어떤 수가 음수이더라도, 그 수의 절대값은 양수가 됩니다. 예를 들어, -3의 절대값은 3이 되며, 3의 절대값은 3이 됩니다. 수학적으로는 |x|로 나타내며, x가 음수일 때는 -x가 됩니다.
그러니까 55km, 320km는 그 수의 크기입니다.
엑셀에서도 우리는 수의 크기, 즉 절댓값을 필요로 할 때가 있는데요.
절댓값은 쓰는 방법은 sum만큼 간단합니다.
abs(값)이 끝인데요.
제가 레고를 굉장히 좋아하는데, 이 레고를 플라스틱 abs합성수지로 만든다고 하네요. 이것이랑 관계없겠지만 그냥 이렇게 연관하여 저는 기억을 했어요.(뭔소리)
엑셀에서 abs는 절댓값이다.
간단한 함수이지만, 여러 수식과 복합적으로 사용할 때 간혹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값에 굳이 -1을 곱하여 양수로 만드는 사용하는 번거로운 작업보다 이렇게 사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excel 세는 함수 방법 카운트 조건 count함수 개수세는 방법 개수세기 예제 기본 (0) | 2024.04.01 |
---|---|
엑셀 특정문자 글자를 원하는 수만큼 반복해서 나타내는 방법 REPT함수 * 개인정보 표시 방법 바꾸는 방법 (1) | 2024.03.27 |
엑셀 글자 나누는 방법, 코드번호 일정한 형식 나누기 분리하기 (1) | 2023.05.25 |
엑셀 빈곳, 빈셀만을 싹 없애는 방법 비어있는 부분만 선택해서 삭제하는 방법 (1) | 2023.05.23 |
엑셀 중간 글자만 추출하여 나타내는 방법 MID함수 (0) | 2023.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