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루루 미미 아범입니다.
한글로 문서 작성할 때 텍스트로만 따박따박 입력하면 뭔가 무미건조한 느낌이 있죠.
우리가 책을 읽을 때도 그 장면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하도록 각종 삽화나 사진 등 중간중간 그림이 들어가는데요.
한글로 글을 작성할 때에도 그림을 집어넣을 수 있습니다.
위 한글파일에 사진을 집어넣어 보겠습니다.
정석적인 방법으로는 상단 [입력] 탭 - [그림] - 첨부할 그림 선택 후 [넣기] 버튼 클릭하면 그림이나 파일이 첨부됩니다.
위의 같은 방법도 있지만 우리는 간단하게 아래 그림처럼 바탕화면에서 파일을 선택해서 바로 한글 안으로 드래그하면 집어넣어 집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쓰는 이미지 확장자 형식은 아래 그림처럼 gif, png, bmp, jpg, pdf 정도가 되는데요.
gif, png, bmp, jpg를 한글로 불러오면 이미지나 그림이 정상적으로 가져와지는데 pdf는 그렇지 않습니다.
pdf를 한글로 드래그해서 가져오면 아래 그림처럼 새 창이 열리면서 외계어 같은 문자들로 채워진 문서가 보입니다.
이는 한글 프로그램과 pdf 간의 호환성 문제로 파일을 열 수 없는 부분이어서,
굳이 pdf파일을 열어봐야겠다 하시는 분들은 pdf파일을 jpg 같은 그림파일로 변환시켜준 후 가져오셔야 합니다.
프로그램 상 문제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입니다.
제 경험 상 png그림파일이 jpg 파일보다 더 선명하여서 한글문서에 png 파일을 첨부하였었는데,
어느 때 열어보면 하얀 엑스박스만 보이고 그림은 보이지 않았던 적이 있어요.
이런 현상의 해결 방법은 1. 재부팅 2. jpg 파일로 교체였어요.
같은 그림파일일지라도 램, 저장용량을 상대적으로 많이, 적게 차지하는 부분이어서 적절하게 사용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